학술제 (tab, 2021.11.26일 (mbti) 관련)

안녕하세요, 저는 언론정보학과 2학년을 재학중인 조은진입니다.

저의 mbti는 전 세계에서도3.5% 밖에 없는 정의로운 사회 운동가, ‘ENFJ’입니다. ENFJ는 외향성과 직관, 감정, 판단의 선호지표로 나눠지는데요. 다른 MBTI에 비해 공감능력이 뛰어나고, 적극적이며, 책임감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음은 ENFJ의 상위 50개의 해쉬태그를 이용해서 만든 사회연결망 분석 결과입니다. 자세히 보면 각각의 노드들은 조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MODULARITY모듈렐리티 를 계산해 크게 세 가지 그룹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빨강색 그룹은 한국어로 된 태그가, 보라색 그룹은 영어로 된 태그가 주로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초록색 그룹은 대문자로 된 MBTI들 중에서 ENTJ, ISTP, ENFP가 나왔습니다.

흔하지 않아서 공감하기 어렵다는 이유 때문일까요? 다른 조원의 MBTI 분석 결과에 비해 ENFJ그 자체를 소개하는 해시태그들이 딱히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령 ENFJ의 성격인 ‘공감능력’, ‘적극적임’ 등 말이죠.

한 직접적 연결이 없는 EDGE를 모두 제거한 연결망을 보시면 영어로 적힌 엠비티아이들보다 한국어로 적힌 MBTI와의 색이 진하며 연결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가장 많이 언급된 상위 30개의 해시태그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했을 때, ENFJ의 뚜렷한 특징이 소개된 글보다는 다른 MBTI 와 함께 언급된 글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상위 25개의 결과를 나타낸 다음 막대그래프를 보시면 ENFJ와 MBTI를 제외한 언급빈도는 차례로 INFP 5.8%, ENFP 5.4%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바로 ENFJ가 태그된 인스타그램 게시글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광고 글로, enfj와 전혀 관계없는 내용이더라도 함께 태그를 걸어 사람들의 유입을 이끌기 위해서였습니다. 두번째 이유는 ENFJ와 잘 맞다고 알려진 ‘ISFP’, ‘INFP’, ‘ENFP’ 와의 관계성을 다룬 게시글과 그림, 태그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가령 INFP와의 에피소드를 담은 이런 게시물들처럼, 사람들은 mbti의 관계성을 재밌게 표현한 ‘밈’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특히 재미로 보는 ‘MBTI 궁합 차트’에서도 나오듯, enfj와 잘 맞는다고 밝혀진 INFP, ENFP가 자주 밈 속에서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학술제 (tab, 2021.11.26일 (mbti) 관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